top of page

지식클러스터 2차 정례모임 회의록

  • ehshigh
  • 2016년 9월 20일
  • 2분 분량

1. 지식클러스터 운영 방향

- 장기 플랜 지양하고, 최대 6개월 이내의 먹거리 사업 논의(RFP, 정책 제안 등)

- 사업의 목표 공유(라운드테이블, 지식포럼, ES데이터 시스템 구축, ES 정책 노론회 활성화)

- 1차년도 성과목표: ①위원회 구성/운영, ②환경/안전 방법론 tool 개발(정책 및 RFP 대체)

2. 현재를 포함한 미래지향적 동향

- 발의: 자원효율성, chemical footprint, 화학물질 정보공개, 녹색화학인증, 4차 산업혁명

3. 스피치를 통한 3 개의 그룹화

(Group 1) Smart Factory를 활용한 각종 규제(법규) 이행과 화학물질 DB등의 활용

- 기업의 역량 및 전문인력 부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규제 불이행 사항, 안전조치 미비사항 등에 대한 모듈 제공과 이행사항 모니터링

- Q: 추가 비용이 기업의 적극성을 저해하면?

- A: 기존 smart factory 사용 기관에 우선 적용하고, 또한 기관 보유 방대한 DB의 부가가치화로 수익모델 가능

(Group 2) TNA (technology needs assessment)에 입각한 적정기술의 개도국 이전

- 국내 TNA 관련 기술은 걸음마 수준도 못되는 것으로 판단

- 적정기술의 이전에 대한 성공사례 분석부터 시작: 정책 연구 및 연구개발 과제화 필요

- 가용 인력, 기관이 실질적으로 전무한 상태: 전문인력양성 필요

(Group 3) Chemical footprint & chemical management

- Chemical footprint 인증기관을 검증하여 인정을 할 수 있는 기관(생기원 등)의 설정

- 해당 내용의 수행이 가능한 민간 컨설팅사의 이증획득/사업수행을 통한 수익 창출

- 법제화, 표준화까지 진행 가능할 것으로 논의

- 적용 가능성에 대한 논의는 일부 미진하지만, 결국 가장 큰 base는 법에 입각한 규제!

- 실현가능성? 양날의 검과 같음. 공개하는 것이 positive or negative? 기업의 수익 실효성?

- 지속적 논의 필요

Special issues : Chemical footprint의 경우 NGO도 많은 관심, 그리고 환경부도 관심, 자원순환의 경우 법의 전면개정과 하위 법령 제정 중, 자원효율정 지침서 작성 중이고 생기원 이실장님 자문역, 관심 전문가 및 기관 참여 독려. 사업화/먹거리 논의 환영. Smart factory 연계 및 솔루티스 연계도 고려중임.

*참석해주신 분들: 기관만 표시

KDI, 에코시안, 한국생산기술연구소, ㈜솔루티스, ㈜열린기술, 에코네트워크(주), 상해 Tongji University,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호서대학교

Comments


Who's Behind The Blog
Recommanded Reading
Search By Tags
PayPal로 기부하기

Also Featured In

    Like what you read? Donate now and help me provide fresh news and analysis for my readers   

© 2023 by "This Just In". Proudly created with Wix.com

bottom of page